맥브라이드 방식
관절강직 / 자. 발가락(Toe)
| 치유되어 부분적으로 일할 수 있는 신체장해 상태 (건강한 측의 기능을 표준해서 측정할 것) |
영구장해의 직업별 장해평가 (직업별 장해등급표에서 1~9를 선택) |
|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9 | |
| Ⅰ. 완전강직(total ankylosis) | |||||||||
| A. 엄지발가락(great toe) | |||||||||
| a. 근위 관절(proximal joint) | |||||||||
| 1. 180도 선에서 | 2 | 2 | 3 | 4 | 5 | 8 | 10 | 12 | 14 |
| 2. 20도 배측굴곡상태에서 | 2 | 2 | 3 | 4 | 5 | 8 | 10 | 12 | 14 |
| 3. 20도 저측굴곡상태에서 | 3 | 3 | 4 | 5 | 7 | 9 | 11 | 13 | 15 |
| b. 원위 관절(distal joint) | |||||||||
| 1. 180도 선에서 | 0 | 0 | 1 | 1 | 2 | 2 | 4 | 5 | 6 |
| 2. 20도 저측굴곡상태에서 | 1 | 1 | 2 | 3 | 4 | 5 | 7 | 8 | 9 |
| c. 두 관절의 추상지(hammer toe) | 2 | 2 | 3 | 4 | 6 | 8 | 10 | 12 | 14 |
| B. 기타 발가락 | |||||||||
| a. 정상 위치(natural position)에서 | 0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
| b. 추상지(hammer toe)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
| c. 중첩 위치(overriding position)에서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
| Ⅱ. 부분적 강직(partial ankylosis) | |||||||||
| A. 엄지발가락 | |||||||||
| a. 근위 관절의 운동범위 제한이 | |||||||||
| 1. 15도 신전에서 180도 선까지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
| 2. 180도 선에서 10도 굴곡까지 | 2 | 2 | 3 | 4 | 6 | 8 | 10 | 12 | 14 |
| 3. 180도 선에서 35도 굴곡까지 | 1 | 1 | 2 | 3 | 4 | 5 | 7 | 8 | 9 |
| b. 원위 관절의 운동범위 제한이 | |||||||||
| 1. 190도 선에서 15도 굴곡까지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
| c. 두 관절의 운동제한이 | |||||||||
| 1. 추상지에 이른 것 | 1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2. 무지 외반증(hallux valgus)에 이른 것 | 2 | 2 | 3 | 4 | 6 | 8 | 10 | 12 | 14 |
| B. 기타 발가락의 운동제한이 | |||||||||
| 1. 추상지에 이른 것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
| 2. 중첩지에 이른 것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
| 3. 저굴변형에 이른 것 | 0 | 0 | 1 | 1 | 1 | 2 | 3 | 4 | 5 |
